티스토리 뷰
728x90
주식 단타로 수익을 낸 뒤, 지속적으로 매매하다가 손실을 보는 상황은 심리적 요인과 습관적인 행동 패턴에서 비롯될 가능성이 높습니다. 이를 극복하고 수익을 지키기 위한 방법을 신체적, 정신적 관점에서 정리해 보겠습니다.
1. 정신적 접근법: 규칙과 심리 관리
① 목표 설정 및 규칙화
- 목표 수익 설정: 하루 수익 목표(예: 10~20만 원)를 명확히 정하고, 달성하면 매매를 종료합니다.
- 손실 한도 정하기: 반대로 손실이 발생하면 그날 매매를 중단하는 한도를 설정합니다.
② 매매 일지 작성
- 수익과 손실을 기록하며 자신의 매매 패턴을 분석하세요.
- **'왜 들어갔는가?'**와 **'왜 나왔는가?'**를 적는 습관은 불필요한 진입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.
③ 도박 심리 극복
- 단타는 쉽게 도박으로 전락할 수 있습니다. 매매 전 자신에게 "이 매매가 도박인지 투자인지"를 물어보세요.
- 욕심을 통제: 이미 수익을 냈다면 추가 매매는 손실로 이어질 확률이 높음을 기억하세요.
④ 차트에서 멀어지기
- 지속적으로 차트를 보면 추가 매매의 충동을 느낄 수 있습니다. 차트를 보는 시간을 정해두거나 일정 시간 후 시스템에서 로그아웃하세요.
2. 신체적 접근법: 습관 개선
① 매매 후 바로 활동하기
- 수익을 냈다면 매매를 종료한 뒤 산책, 운동, 집안일 등 다른 활동으로 즉시 전환하세요.
- 이는 차트에 집착하지 않도록 도와줍니다.
② 충분한 휴식과 수면
- 피로는 판단력을 저하시킵니다. 매매 전 충분히 쉬고, 스트레스를 관리하며 건강한 신체 상태를 유지하세요.
③ 규칙적인 운동
- 규칙적인 운동은 도파민을 조절해 충동적인 행동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.
- 특히, 명상, 요가, 걷기 같은 활동은 차분한 마음을 유지하게 해 줍니다.
3. 실천 방법: 행동과 습관화
① 알람 설정
- 목표 수익 달성 시 알람을 설정해 매매 종료를 알립니다.
- 알람 후 바로 PC를 끄거나 앱에서 로그아웃하세요.
② 매매 후 보상
- 수익을 달성한 후 스스로 보상(맛있는 음식, 영화 보기 등)을 설정하세요.
- 매매로 얻은 보상감을 다른 활동으로 전환하면 충동을 줄일 수 있습니다.
③ 냉정한 손절 훈련
- 손실이 발생하면 즉시 매매를 종료하는 냉정한 판단력을 길러야 합니다. 손실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고 객관적으로 대응하세요.
4. 실천 계획: 하루 매매 전략
- 수익 목표 달성 시 종료: 하루 목표 금액 달성 후, 그날의 수익을 "완료된 것"으로 기록합니다.
- 매매 후 차트 로그아웃: 앱이나 프로그램에서 로그아웃한 뒤 바로 활동을 전환합니다.
- 차트 외 활동 준비: 매매 종료 후 할 활동(운동, 산책, 독서 등)을 미리 계획하세요.
- 매매 일지 검토: 매일 자신의 매매를 복기하며 불필요한 매매를 줄여나가세요.
결론
주식 단타는 높은 집중력과 냉정한 심리가 요구되며, 도박 심리를 통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고 매매 종료 후 즉시 신체적 활동으로 전환하는 습관을 들이세요. 또한, 차트에서 물리적으로 멀어지는 시스템적 장치(알람, 로그아웃 등)를 활용하면 지속적인 손실을 막을 수 있습니다.
728x90